r46 vs r47
......
4646 * '''다른 레벨에서 가져오기'''[br]같은 곡을 사용한 레벨에서 오프셋 값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물론 귀찮지 않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 있으나 가져올 레벨의 오프셋이 어긋나있는 상태이거나 오프셋 차이가 있는 다른 노래 파일을 사용했을 경우[* 원본 노래 파일이 mp3 파일인 경우 얼불춤으로 불러오면 자동으로 ogg 파일로 변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프셋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환경에 따라 오프셋이 다를 수 있습니다.]에는 싱크가 맞지 않다는 명확한 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레벨 제작자가 본인의 레벨에서 오프셋을 가져가지 말라는 문구가 있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4747
4848 * '''노래 파일 자르기'''[br]노래 파일을 잘라내어 재생과 동시에, 즉 오프셋을 0으로 설정하여도 바로 원하는 부분이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역시 곡의 전주 부분이 있다면 잘려나가 음악성이 사라지고 정확히 잘리지 않으면 싱크가 틀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허가 조건에 곡 수정을 금지한 작곡가들이 있는데, 이 경우 이 방법을 썼을 때 '''저작권 위반 처리가 되어 레벨이 내려갈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49=== 이펙트 합작 연결 시 오류를 방지하는 법 ===
50이펙트 합작은 여러 사람이 파트를 나눠 작업한 후, 최종적으로 이를 하나로 합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수정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오류를 방지해야 합니다.
51
52 * '''태그 이름이 겹치지 않도록 주의하기'''[br]태그 이름이 중복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이름이나 파트 번호를 접두사로 붙이면 중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예시1: 4_bokeh] 확실하게 하기 위해 합작에 참여한 인원끼리 태그 네이밍 규칙을 미리 정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3 * '''이미지 이름이 겹치지 않도록 주의하기'''[br]태그 이름과 마찬가지로 이미지 파일 이름이 겹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54 * '''첫 파트가 아닌 경우, 파트 시작 시 첫 번째 타일에서 초기화하기'''[br]파트가 시작할 때 측면 설정은 파트를 연결할 때 복사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이벤트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전 파트의 제작자가 후술할 '마지막 파트가 아닌 경우 마지막 타일에서 초기화하기'를 지키지 않았을 수도 있으니 첫 번째 타일에서 다음 이벤트를 전부 설정해야 합니다.
55> 히트사운드 설정, 행성 공전 설정, 행성 크기 조절, 길 색상 설정, 길 애니메이션 설정, 길 색상 재설정, 배경 설정, 플래시, 카메라 이동, 필터 설정, 고급 필터 설정, 거울의 방, 화면 흔들기, 블룸, 화면 바둑판식 배열, 화면 스크롤, 초당 프레임 설정, 조건부 이벤트 설정, 홀드 소리 설정, 판정/타일 아이콘 숨기기, 행성 반경 범위
56
57 * '''마지막 파트가 아닌 경우, 마지막 타일에서 초기화하기'''[br] 자신의 파트가 중간에 끝나는 경우, 다음 파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지막 타일에서 설정을 초기화해야 합니다. 이때, 자신의 파트의 '''마지막 타일과 그 다음 타일의 각도에서 0.1을 뺀''' 값을 각도 오프셋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항목을 전부 초기화합니다.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이벤트는 초기화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58> 히트사운드 설정, 행성 공전 설정, 행성 크기 조절, 장식, 텍스트, 배경 설정, 플래시, 카메라 이동, 필터 설정, 고급 필터 설정, 거울의 방, 화면 흔들기, 블룸, 화면 바둑판식 배열, 화면 스크롤, 초당 프레임 설정, 조건부 이벤트 설정, 홀드 소리 설정, 판정/타일 아이콘 숨기기, 행성 반경 범위
59
60 * '''길 색상 재설정, 길 이동 사용 시 유의사항'''[br] '첫 타일'과 '마지막 타일'을 사용할 경우 파트 연결 시 기준이 달라져서 문제가 발생하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첫 파트는 '첫 타일', 마지막 파트는 '마지막 타일'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4961=== 미드스핀을 제외한 타일 수 세기 ===
5062미드스핀 타일은 타점은 한 번이지만 실제로는 두 개의 타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제 타점 수와 Ctrl + F 또는 Ctrl + Shift + F를 눌러 표시되는 타일 수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테크 트랙에서 자주 사용되는 마법진을 제작할 때, 마법진의 정확한 길이를 알기 어려워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5163
......